2006년 16,438명에 그쳤던 귀농귀촌 인구가 2015년에 이르러서는 41,300명으로 늘었다. 귀농귀촌 붐 초반 고향으로 돌아오는 유턴 형태의 인구가 최근에는 도심에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연령층 역시 넓어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귀농귀촌인들은 여전히 영농활동의 경험 부족, 농지 및 시설 투자 시 자금 부족, 재배작물의 판로 부족, 문화, 체육 시설 등 인프라 부족 등을 이유로 귀농귀촌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귀농에 도움이 되는 지원정책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농업경제신문=홍미경 기자] 귀농인과 예비 귀농인은 갓 태어난 아기와 같아서 각별한 보살핌이 필요하다. 해서 앞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살펴봤다. 하지만 이것보다 근본적인 대책은 바로 농업 경영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맞춤형 육성전략이다.

예비 농업인이라고 하면 농산업 분야의 직업을 탐색하고 귀농귀촌 교육을 받은 진입 단계를 말한다. 이어 농업 신규 진입에 필요한 기술, 경영 능력 배양 교육을 받은 후계•창업단계의 신인 농업인을 거쳐 중견 농업인과 선도 농업인으로 올라서게 된다.

신규농업인 단계를 벗어나면 개인별 역량에 따른 소득 격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시장 개방, 원자재 가격 상승, 자연재해 증가, 소비자 요구 다양화 등 경영상 위험요인 증가하는 것. 특히 영세농의 경우에는 소득 창출이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농촌 인구감소, 고령화 심화 등에 대비 미래 농업을 선도할 인력을 육성할 필요성과 농업경영인의 성장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 농업인 교육 체계는 크게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농촌 인적자원 개발 센터로 나뉘어 있다.

농식품부 산하 교육체계는 단계별, 수준별 교육 중심으로 농업경영인 육성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고 농진청 산하의 교육체계는 5단계 분류 교육체계 농업기술교육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농식품에서는 농업마이스터대학, 후계농 교육, 농과계 학생(고교/ 대학) 교육 등을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는 기초 농법 및 농업 마인드 교육을 현장 실습 및 체험을 통해 교육하고 다음 전문농업기술, 마케팅, 유통교육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해 중견 그리고 선도 농업 경영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특히 농식품부에서는 미래농업을 이끌어갈 농업 전문경영인 양성을 목표로 첨단 품목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진입과 정착 단계를 거친 신규농업인들이 다음 단계로 올라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농업인의 품목 전문 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ICT 기반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현장 문제 해결 중심의 맞춤형 컨설팅·교육과정이 주요 내용이다.

이 과정을 신청하게 되면 자부담 20% 수준의 비용만으로 해외농업전문가 초청 교육과 우수 교육생을 선발하여 해외심화연수를 받을 수 있다.

또 중견 농업인 이상 고급과정으로는 또 2009년부터 시행 중인 농업마이스터대학이 있다. 전문농업경영인(농업마이스터)은 재배품목에 대한 전문 기술과 지식, 경영능력을 갖추고, 이를 다른 농업인에게 교육하고 컨설팅하는 농업경영인을 뜻한다.

전국 9개 도 9개 대학, 100개 전공 과정으로 13년 이상 농업 종사 경력자를 대상으로 한다.

전문 기술교육 위주로 만들어진 농업인 대학은 각 군 농업기술센터 내에 설치된 교육센터로써 사과대학 같은 지역 특산물이나 유망 경제활동 중심의 교육을 추진한다. 131개 시, 군에서 143개 운영 중이다.

키워드

#SRN7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