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중금속 포함 사계절 내내
황사, 자연발생... 봄에 극성

[농업경제신문=홍미경 기자] 봄이 시작되자 어김없이 미세먼지가 극성이다.

한동안 황사로 인한 노란 모래바람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더니 이제는 매캐한 미세먼지가 심각하다.

맑은 공기를 오염시키는 황사와 미세먼지 차이가 궁금하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하늘을 부옇게 만들고 먼거리까지 이동한다는 점에서 매우 비슷하나 주로 봄에 영향을 주는 황사와 달리 미세먼지는 일년 내내 영향을 주며 발생과정과 특성 역시 많은 차이가 있다.

◆ 미세먼지, 인위적으로 발생… 질산염·중금속 등 포함

미세먼지에는 사람에게 해로운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황사 때 보다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중국 동부지역의 활발한 산업 활동으로 배출된 미세먼지들이 국경을 넘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고 있다.

송월동에 위치한 기상청 서울 황사감시센터에서 여과지를 이용해 입자 크기별로 포집한 황사입자의 색깔을 보면 지난 2월 말 이례적인 강한 겨울 황사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을 때에는 2㎛ 이상에서 누런 황토 색깔을 띠었고?작년 2월 말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을 때에는 2㎛ 이하에서 검은 색깔을 띠고 있다.

이러한 황사와 미세먼지의 발생원과 성분의 차이로 인해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을 감시하고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방법 역시 차이가 있다.

황사, 흙먼지·모래가 지표에 떨어지는 '자연현상'

황사는 주로 아시아 대륙의 몽골과 중국의 사막지역, 황하 중류의 건조 지대, 황토 고원, 내몽골 고원에서 한랭전선의 후면에서 부는 강한 바람에 의해 흙먼지나 모래가 공중으로 떠올라 바람을 타고 이동하면서 천천히 지표에 떨어지는 현상으로 삼국사기와 같은 옛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는 아주 오래된 자연현상이다.

발원지에서의 황사입자 크기는 1∼1000㎛로 이 중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황사는 대기에서 수일 동안 떠다닐 수 있는 약 1∼10㎛ 크기이다. 황사에는 칼슘, 마그네슘 등 자연기원의 물질이 많이 있다.

이와 달리 최근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미세먼지는 가정의 난방과 취사, 자동차 운행, 공장에서의 화석연료의 사용, 산불 및 화전 경작 등으로 발생한 인위적인 입자로 크기는 황사보다 훨씬 작은 2㎛ 이하이다.

◆ 예측방법, 차이 커

황사는 기상청에서 황사 발원지와 그 부근에 설치한 ‘한·중 황사공동 관측망’과 위성 정보 등을 이용, 발원지의 상태와 이동경로상 황사의 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또한 자체 개발한 황사예측모델 ‘아담2’를 이용해 발원지에서 발생한 황사가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를 사전에 예측한다.

반면 미세먼지의 경우 소관부서인 환경부의 국립환경과학원과 날씨를 예보하는 기상청의 긴밀한 협업에 의해 미세먼지 예측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동작구 신대방동 기상청 본부청사에서 합동 근무 중인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기상청의 ‘환경기상 통합 예보실’은 현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 중 하나인 ‘부처간 벽 허물기과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