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 소득격차도 감소 … 전업농 안정적 성장

로컬푸드, 유통구조 개선, 정책자금 금리 인하 등으로 농업소득이 증가하면서 농가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15년 농가경제조사'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농가소득은 3721만원으로 2014년보다 6.5% 상승했다.

농경연은 도농간 소득격차 비율도 2012년 57.6%에서 지난해 64,4%로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며 대내외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농가경제가 점차 회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창길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이20일농가경제조사분석결과를농림축산식품부기자실에서발표하고있다.
▲김창길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이20일농가경제조사분석결과를농림축산식품부기자실에서발표하고있다.

농경연은 농업생산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규모화 된 전업농가의 소득이 크게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경지면적 2.0ha 이상, 40~50대 ‘규모화 된 전업농가’를 별도로 분석해 보면, 농가소득은 790만원이 증가한 6780만원으로 2014년보다 13.2% 상승해 농가 전체 평균보다 더 높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농가의 농업소득이 증가한 것은 농업정책금리 인하(사료구매자금, 시설현대화 자금 등 3.0%에서 1.8∼2.5%로 인하), 유가 하락 등으로 경영비가 절감된 것도 주요인 하나로 분석된다.

또한 농가소득 증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9.3% 증가하고 전체 농가소득 증가분의 42.1%를 차지하여, 농가경제를 호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농가소득에서 순수하게 농사로만 벌어들이는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개선돼 30%를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정부의 직접지불금이 포함된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15.9% 증가해 전체 농가소득 증가분의 48.0%를 기여했다. 직불금 등 농업생산과 관련된 이전소득(농업보조금)을 포함한 광의의 농업소득은 1,292만 원이며, 농가소득 증가분의 45%를 차지했다.

농가 전체 평균으로 보면 공적보조금 중 연금, 실업수당, 기초노령연금 등이 포함된 농업외보조금 증가가 두드러져 전년 대비 21.0% 상승했다. 농경연은 60세 이상, 1ha 미만의 영세고령 농가에게는 정부의 복지지원 정책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영세고령농가에게는 복지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6차 산업과 연관이 높은 겸업 및 다양한 농촌 일자리를 통한 근로수입을 올릴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농외소득이 경기에 의존되지 않도록 보완하는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길 원장은 “농가경제 분석결과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지속 추진해온 다양한 소득 및 경영 안정 정책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조만간 관련 분야 전문가, 지자체, 농업인 등이 참여하는 집중 토론 세미나를 개최해 향후 관련 정책 발전을 위한 방향을 추가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