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지 부실관리 논란

비승인 LMO 유채가 홍성, 태백 등에서 발견돼 정부가 폐기처분에 나섰지만 LMO유채 재배지역 등을 농식품부가 축소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환경단체와 농민단체들로 결성된 GMO반대 전국행동은 9일 성명을 내고 농식품부의 GMO 유채 32톤 조사 폐기 등이 완료됐다는 발표는 진실을 덮고 축소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GMO반대 전국행동은 성명에서 “농식품부는 보관 중인 14.2톤은 소각하고 4톤은 전국 56개소에 식재된 것이 확인되어 경운 또는 폐기했다고 하지만 56개소는 유채가 재배된 곳이 아니라 유채를 구입한 농민, 혹은 영농조합, 지자체라는 것이 밝혀졌다”며 실제로 유채가 재배된 곳은 56곳이 아니라 훨씬 많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GMO로 오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나머지 12.1톤에 대해 정부의 설명이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보고하지 않은 12.1톤은 농민들이 축산 사료로 묶어서 전국의 농가로 흩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지난5일농식품붇에서LMO유채관련브리핑을하고있다.
지난5일농식품붇에서LMO유채관련브리핑을하고있다.

GMO 처리를 축소했다는 의혹과 함께 부실처리도 논란이 되고 있다. GMO 유채를 불활성화처리 매뉴얼에 따라 처리하지 않았다는 것.

처리매뉴얼에는 GMO는 소각하거나 약제 처리하는 방법이 있고 파쇄를 할 경우 꽃피기 전이나 개화 초기 열매를 맺지 않은 시기에 가능하다고 되어 있고 매몰 시에는 2m 깊이로 묻으라고 되어 있지만 5월 15일 태백시에서 최초 발견된 이후 경운을 통해 파쇄처리로 했다고 지적했다.

GMO오염 재배지의 경우 격리를 위한 표찰을 설치하고 격리구역으로 지정해야 하지만 지난 5일 시민단체가 기자회견을 한 충남 내포신도시의 GMO 오염 재배지에는 아무런 표찰도 없었고 격리구역 설정도 없었다. 심지어 제대로 파쇄되지 않은 GMO유채를 시민들이 주변에서 발견해 소각하기도 했을 정도로 관리가 제대로 돼지 않고 있다.

GMO반대 전국행동은 성명을 통해 정부당국은 관련사실을 축소은폐 중단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고 민관공동대책위를 구성해 오염재배지를 공개하고 공동관리체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