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경제신문=임해정기자] 농촌 진흥청 청장 라승용씨는 소규모 한우 집단의 개량을 앞당길 수 있는 정자 채취 및 동결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한우를 포함한 포유동물은 고환에서 정자가 형성되고 부고환에서 정자가 이동하여 성숙되고 저장되는데 이 기술을 통해 씨를 받기 위하여 기르는 씨수소의 부고환에서 정자를 채취하고 얼려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우 씨수소의 당대(씨수소 자신의 능력)검정과 후대(새끼의 능력)검정을 통해 1마리를 생산하기까지 약 60개월 정도가 걸린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당대검정을 마친 뒤 바로 실용화할 수 있는 정자 채취 및 동결 보존 기술로써, 검정 기간을 40개월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개량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다. 연구진은 당대검정은 마쳤지만 후대검정이 끝나지 않은 13개월령의 후보 씨수소를 거세해 부고환 끝부분을 미세하게 절개한 뒤, 정자를 채취하고 얼렸다.

이어 정자의 수정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언 정자를 녹여 체외 수정을 실시했는데, 실제로 수정이 돼서 분할된 비율과 수정란 이식이 가능한 단계인 배반포의 생산율은 한우 보증씨수소(KPN)의 대조구 정액과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부고환에서 채취한 정자도 인공수정이 가능한 것을 발견했으며, 이번 기술로 후보 씨수소의 정자를 채취 및 보존한 뒤, 이 후보 씨수소를 살찌워 도체성 성적을 검정한 다음 얼려둔 정자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미 특허를 출원했고 앞으로 한우 암소 개량 사업의 지역 단위 소규모 집단에서 육질, 육량, 체형 등 특정 형질의 개량효율을 높이거나, 한우 유전자원 보존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 진흥청 한우 연구소의 양보석 농업 연구관은 "씨수소 자신의 정상과 도체 능력을 검정하고 활용할 수 있어 브랜드 한우와 같이 소규모 집단의 한우개량에 활용 가능하며, 또한 정액 채취에 훈련 기간이 필요없고, 사고 등으로 채취가 불가능한 개체에서도 정액을 생산해 인력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