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경제신문 = 임해정 기자] 쌀소득 감소에 따른 농가소득이 줄어들면서 신용불량자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농협의 농지담보대출 잔액이 올해 9월 말을 기준으로 51조 4,15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09년도와 비교해봤을 때 72.6나 늘어난 규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박완주 의원은 “쌀 소득 하락과 농가부채 증가로 인해 농협 농지담보대출 잔액이 현재 51조에 달한다”면서 “농가 간뿐만 아니라 도농 간의 소득격차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실제로 박완주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최근 10년간 농지담보대출 연도별 현황’자료에 따르면 전산 집계가 최초로 가능했던 2009년에는 밭을 담보로 192,050건, 논을 담보로 329,363건, 과수원을 담보로 29,153건 총 55만 566건의 농지담보대출이 발생했다. 여신 잔액은 29조 7,874억 원으로 나타났다.

29조원의 여신 잔액은 8년 만에 72.6나 불어났다. 올해 9월 말을 기준으로 농지담보대출은 처음으로 50조를 넘어서 51조 4,153억 원을 기록했다.

밭을 담보로 20조 8,031억 원, 논을 담보로 27조 5,922억 원 그리고 과수원을 담보로 3조 200억 원이 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농가 역시 논으로 5천640억원, 밭으로 1조4천246억원, 과수원 277억원 등 총 2조163억원의 대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그런가하면 박완주 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농협조합원 신용불량자 현황’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8월 말을 기준으로 1만 2,626명의 농협조합원이 신용불량자에 등록되거 있으며, 등록금액은 총 1조 4,147억 원에 이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가부채는 20년 전인 1997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증가한 상황이다. 농가당 평균 부채는 1997년에 1,301만 원이었지만 20년 사이 105.4 증가해 지난해 2,673만원이 됐다. 농가부채는 최근 10년 동안 2,700만 원 내외에서 정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가부채가 증가하게 된 주요 원인은 쌀 소득 감소에 따른 농업소득 감소다. 지난해 쌀 소득은 2000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45 수준을 보였다. 이 같은 형상은 2000년에 567만원이었던 쌀 소득이 2016년, 254만원으로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6년산 쌀은 127,792원으로 2000년산 쌀 가격인 149,020원보다 2만 원 이상 낮았다.

이어 박 의원은 “농민이 채무 때문에 농지를 잃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농정개혁과 쌀값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