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리기, 지방 쓰는법, 차례 지내는 방법 등에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민족 대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리기, 지방 쓰는법, 차례 지내는 방법 등에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포인트데일리 홍미경 기자] 민족 대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 차리기, 지방 쓰는법, 차례 지내는 방법 등에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차례상의 경우 지방이나 집안마다 다르기 때문에 감안해야 하며 차례는 가례(家禮)라고 해서 조상님께서 평소 좋아하시던 음식을 올려도 무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니 기본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정도껏 하면 된다.

1열에는 시접과 잔반(술잔, 받침)을 놓고 식사(떡국 또는 송편)를 올린다.

2열에는 육전과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 부침류를 놓되 어동육서(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생선 대가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를 지킨다.

3열에는 생선·두부·고기탕 등 탕류를 놓고 4열에는 생선포와 나물, 물김치 식혜 등을 놓되 좌포우혜(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순으로 하면 된다.

4열에는 좌포우혜로써 좌측 끝부터 포, 삼색나물, 간장, 침채, 식혜로 구성된다.

5열에는 대추, 밤, 배, 곳감(감), 사과와 약과 등 튀김과자를 올리되 조율이시(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곶감))와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대로 놓는다.

차례상을 준비할때 주의할 점도 있다.

과일 중에는 복숭아, 생선 중에는 갈치, 삼치, 꽁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사용하지 않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사용해야 한다.

건전가정의례준칙에 따른 제례절차는 신위모시기→헌주→축문 읽기→물림절의 순서대로 따라하면 된다.

신위모시기는 제주(祭主·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가 분향(焚香·향에 불을 붙이는 일)한 후 모사(茅沙·향로)에 술을 붓고 참사자(參祀者·제사에 참여한 사람)가 일제히 시위 앞에 재배(再拜·두 번 절함)한다.

헌주(獻奏·신에게 술을 올림)는 한 번 올리고 축문(祝文·제사 때 신에게 고하는 글)을 읽은 후 묵념한다.

묵념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가 신위(神位·지방이나 고인의 사진) 앞에 재배를 하는 물림절을 끝으로 제(祭)를 끝낸다.

신위는 지방(紙榜·종이로 만든 신주)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건전가정의례준칙에는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을 경우 대신하며, 지방은 한문으로 쓰나 가능하면 한글로 흰 종이에 먹 등으로 작성한다.

부모의 경우 ‘아버님 신위, 어머님 신위’로, 배우자의 경우 ‘부군 신위’, ‘부인 OOO신위’로 하며, 차례(합동제사)의 경우 ‘할아버님 신위·할머님OOO신위·아버님 신위·어머님 OOO신위’를 함께 써 넣는다.

할머니, 어머니, 부인의 경우 이름이 아닌 본관(本貫)과 성씨(姓氏)를 적는다. 예를 들어 김해 김씨의 경우 ‘할머님 김해김씨 신위’이런 식이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