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경제신문=홍미경 기자] 가을 나들이 시즌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지역축제가 한창이다.

수확의 계절 가을을 맞아 제척 지역 농산물을 비롯해 각 지역 문화제를 겸한 지역 축제가 나들이객의 발길을 사로잡는 것.

특히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지역축제는 전성기를 맞았다. 연간 2400여 개의 크고 작은 축제가 열리면서 '축제 공화국'이라는 비난 섞인 우려도 나오고 있으며, 축제를 계기로 발길이 뜸했던 지역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쏟아지고 있다. 이에 지역축제의 명과 암을 짚어봤다.

가을 억새철을 맞아 각 지역에서는 억새 축제가 한창이다. 자연의 풍광과 가을의 정취가 어우러진 억새축제는 도시민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 지역 축제는 서울을 중심으로 도심에 집중돼 있는 시선을 돌려 지역의 향토문화를 알리고 관광 상품을 활성화해 지역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데 의의가 있다.

이에 각 지역에서는 특색 있는 프로그램과 체험 활동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 지역 농산물을 대내외에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해 농민들에게 적극적인 참여와 호응을 얻어내고 있다.

하지만 지난 주말 억새 축제만 해도 서울, 경기도, 전라도 등 지역별 억새 명소에서 똑같은 억새축제가 열렸다. 국화 축제 역시 마찬가지. 함평, 마산, 익산, 화순, 영암, 홍주 등에서 같은 축제가 열려 식상할 뿐만 아니라 보는 이들에게 피로도를 안겼다.

또 각 지역마다 제각각 지역 특산물이라고 외치며 비슷비슷한 축제가 난무하고 있다. 서울·진주의 ‘등(燈)’, 영덕·울진의 ‘대게’, 음성·괴산의 ‘고추’ 등 지역 특산물이 겹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은 각자가 원조임을 주장하며 갈등이 빚어지고 논란으로 까지 번지기도 했다.

무엇보다 지역 축제의 남발은 각자 지역의 색깔을 잃고 천편일률적인 '먹고 놀자판'으로 전락했다는 점이다. 또 지자체 단체장의 선심성 또는 업적쌓기 급급한 보여주기식이라는 점에서 농가-관광객 모두에게 외면받기에 이르렀다.

뿐만 아니라 지역 축제 때면 늘 있는 관행처럼 무작위식 공무원 동원이다. 지역민들을 위해 봉사하는 공문원이라는 것을 빌미로 휴일에 동원되는가 하면 입장권 강매나 방문객 동원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이에 주말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는 "지역축제? 정작 지역 특산물은 없고 잡스러운 것만 많고 무질서에 불결하다. 술 마시고 먹자판으로만 전락한 축제 이젠 정리하자", "지역축제 우후죽순으로 생기는데 말로는 정리해야 한다고 하지만 현실은 더 늘어나고 있다 표를 의식한 단체장의 선심 축제 없애야 한다", "지역축제는 민선 부작용 중 하나 자치단체장 업적 쌓기에 동원되는 것 일 뿐. 공무원 동원 없애고 관변 단체 위주 행사도 고쳐라 시장 온다고 지나친 의전 하는 것, 시민 입장에서 보기 싫다" 등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이쯤 되면 누구를 위한 축제인가라는 반문이 생기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나서서 지역축제를 적극 권유하는 이유는 지역 스스로 경제적 자립도를 세워 지방분권화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의지가 다분하다. 이제 수많은 축제들이 거품을 걷어 내는 자성의 목소리 높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포인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